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법원 등기 피싱 외 보이스피싱 유형 살펴보기

by @블링해 2025. 2. 10.

피해 사례가 많은 피싱 유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꼭 확인하시고 경각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법원 등기 피싱

최근 기승을 부리는 보이스피싱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법원 등기 피싱’이에요. ‘법원에서 등기 서류가 도착했으니 확인하세요’라는 전화를 받고 링크를 클릭하면 악성 프로그램이 깔리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어요. 법원에서 등기 서류를 보낼 때는 절대 전화로 알리지 않으니, 이런 연락이 오면 조심하세요!

평소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휴대폰 앱을 설치해주시는 것을 권장드려요. 필수 앱니다!

대처 방법

  • 법원은 전화로 등기 발송을 안내하지 않음
  • 링크 클릭하지 말고 직접 법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기
  • 출처 불명의 문자는 바로 삭제하기

대출 사기형 보이스피싱

이 유형은 돈이 급한 사람들을 노리는 수법이에요. ‘저금리 대출이 가능합니다’라고 유혹하면서, 대출을 받기 위해 선입금이나 보증금을 요구하죠. 문제는 돈을 보낸 순간 사라진다는 것! 정식 금융기관은 절대 대출 전에 돈을 요구하지 않으니, 이런 전화를 받으면 무조건 끊으세요.

대처 방법

  • 낮은 금리 광고에 혹하지 않기
  • 공식 금융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상담받기
  • 선입금을 요구하면 100% 사기라고 의심하기
  •  

2.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이건 정말 흔한 보이스피싱 방법이에요.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면서 ‘당신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다’며 겁을 주죠. 그리고 돈을 안전한 계좌로 옮겨야 한다면서 송금을 요구하는데요. 하지만 경찰이나 검찰은 절대 전화로 계좌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대처 방법

  • 수사기관이 전화로 금융 거래를 요구하면 무조건 사기!
  • 전화로 계좌 정보를 묻는 경우 절대 답하지 않기
  • 의심스러우면 직접 해당 기관에 전화해 확인하기

3. 가족·지인 사칭형 보이스피싱

카카오톡이나 문자로 ‘엄마, 나 급해. 휴대폰 고장 나서 다른 번호야’라고 하면 순간 당황하게 되죠. 이런 식으로 가족이나 친구를 사칭해 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 실제로 부모님 세대에서 이런 사기에 쉽게 당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처 방법

  • 돈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오면 직접 전화해 확인하기
  • 낯선 번호로 가족을 사칭하면 일단 의심하기
  • 가족들에게도 미리 이런 사기가 있다는 걸 알려주기

4. 택배·결제 사칭형 보이스피싱

‘고객님의 택배가 반송되었습니다’라는 문자와 함께 링크가 온다면? 클릭하는 순간 악성 앱이 설치되고, 개인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어요. 요즘은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라는 가짜 문자도 보내서 혼란을 주기도 하죠.

대처 방법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속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
  • 택배사는 공식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직접 조회하기
  • 결제 문자가 오면 직접 카드사에 확인하기